SK하이닉스 로고

SK하이닉스 (000660) 주가 및 종목 정보

SK하이닉스 실시간 주가

SK하이닉스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262,500 원
변동량 ▲ 500.00 원
변동률 0.19%
거래량 2,887,008
거래대금 752,221,437,250 원

SK하이닉스 일별 주가

SK하이닉스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7/14/2025 296,000 298,500 290,000 298,500 4,196,196 1,231,459,054,812
7/15/2025 298,500 299,500 292,500 296,000 3,123,297 921,107,086,250
7/16/2025 283,500 289,500 268,000 269,500 9,328,322 2,557,977,761,214
7/17/2025 270,000 275,000 267,000 269,000 5,359,504 1,444,044,947,500
7/20/2025 267,500 274,500 266,500 272,500 2,424,891 659,154,203,750
7/21/2025 273,000 273,500 267,000 268,500 3,139,858 844,336,707,647
7/22/2025 267,500 271,000 264,500 269,000 3,116,279 835,260,110,076
7/23/2025 277,000 279,000 269,000 269,500 3,667,144 1,005,675,894,310
7/24/2025 273,000 275,000 265,500 266,000 2,171,063 584,789,111,250
7/27/2025 261,000 265,500 258,500 262,000 2,877,357 752,794,876,750

관련 테마

  • 자율주행 : 차량용 메모리 반도체 개발과 함께 시스템 반도체 중 하나인 이미지 센서를 축으로 전장용 반도체 사업을 강화 중인 기업
  • 애플 : 반도체 제조업체로 아이폰에 반도체 메모리 공급 중
  • 시스템반도체 : 주력 생산제품은 DRAM과 낸드플래시 및 MCP(Multi-chip Package)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 제품이나, 2007년부터는 시스템 LSI 분야인 CIS(CMOS Image Sensor) 사업에 재진출하여 종합반도체 회사로 영역을 확대 중
  • 불화수소 : 불화수소 국산화에 성공하여 반도체 라인에 투입했다는 소식에 관련주로 부각
  • 메모리반도체 : 주력 생산 제품은 D램, NAND Flash,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이며, 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 D램 29.4%, NAND Flash 12.2%를 차지하고 있음
  • D램 : 주력 생산 제품은 D램, NAND Flash,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이며, 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 D램 29.4%, NAND Flash 12.2%를 차지하고 있음
  • 3D낸드 : SK 그룹 계열의 세계적인 메모리 반도체 전문 제조업체로, 업계 최초로 72단 3D NAND FLASH 개발한 바 있음
  • 반도체생산 : SK그룹 계열의 세계적인 메모리 반도체 전문 제조업체. 주력 생산제품은 DRAM과 낸드플래시 및 MCP(Multi-chip Package)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 제품. 2007년부터는 시스템 LSI 분야인 CIS(CMOS Image Sensor) 사업에 재진출하여 종합반도체 회사로 영역을 확대 중
  • 차량용반도체 : LPDDR(저전력 더블데이터레이트) 등 D램 제품과 eMMC(내장형 멀티미디어 카드) 등 낸드플래시 제품을 연달아 자동차용으로 출시한 바 있음
  • 온디바이스AI : 애플 비전 프로에 고대역 스페셜 DRAM 공급을 시작으로 온디바이스AI 메모리 시장 진입 전망
  • (e)SSD : SK그룹 계열의 세계적인 메모리 반도체 전문 제조업체로 SSD용 낸드플래시메모리를 생산
  • 유리기판 :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기업으로, 고성능 반도체 패키징을 위해 유리기판 도입을 검토하며 기술 개발을 통해 반도체 성능 향상을 추구하는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음
  • NPU : AI 연산용 고속 메모리(HBM, DDR5 등)를 공급하는 기업으로, NPU가 탑재된 AI 반도체와 함께 쓰이는 고대역폭 메모리의 핵심 공급사

SK하이닉스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1,911,006억 2위 728,002,365 55.17% 하드웨어/IT장비 반도체/반도체장비 306,500 144,700

SK하이닉스 기업 개요

SK하이닉스는 1983년 현대전자로 설립된 기업으로 2001년 하이닉스반도체, 2012년 SK텔레콤에 인수되며 SK하이닉스로 상호를 변경, 메모리 반도체분야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DRAM과 NAND 중심의 메모리반도체 사업 부문이며, 시스템 반도체 CIS 생산과 파운드리 사업부분이 뒤를 잇고 있다. IT기술과 기기의 발전으로 반도체 제품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동사는 인텔사 NSG의 옵테인 사업부를 제외한 NAND 사업 부문과 키파운드리를 인수하며 반도체 사업분야 내에서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최신 SK하이닉스 관련 뉴스

올해 상반기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크게 요동쳤다. TSMC를 필두로 기술력에서 치고 나가는 대만과 저가 공세를 앞세워 D램 분야에서 발 빠르게 추격에 나선 중국 사이에서 대한민국의 반도체 산업은 위기론까지 불거지기도 했다. 박준영 산업인류학연구소장과의 일문일답을 통해 대한민국의 반도체 산업이 나아가야 할 길을 짚어본다. 박 소장은 을 최근 출간했고, 과거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연구원으로 활동한 인물이다. 현재는 한국경제TV 와우아카데미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8월 중 반도체 공정에 대한 강의를 선보일 예정이다. Q. 현재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이 놓인 현실을 진단해본다면 산업 기반을 기초부터 탄탄히 다져, 연구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기로에 있다고 봅니다. 두가지 때문에 그렇습니다. 우선 '메모리 반도체 만으로 수익을 충분히 낼 수 있느냐'하는 포트폴리오 측면입니다. HBM 때문에 메모리 반도체 매출이 늘기는 했지만 여전히 메모리 시장은 전체 반도체 매출의 3분의 1수준입니다. 시스템 반도체 시장이 3분의 2 정도로 훨씬 비중이 큰데다 고부가가치 성격을 가

[인포스탁데일리=윤서연 기자]▶마감체크■ 코스피 지수코스피 지수는 0.66% 상승한 3230.57에 마감했다.지난밤 뉴욕증시가 미-EU 무역 합의 속 빅테크 실적 및 FOMC 경계감 등에 혼조, 유럽 주요국 증시는 미-EU 무역협정 엇갈린 반응 속 하락했다.이날 코스피지수는 3192.17로 하락 출발했다. 장 초반 낙폭을 키웠고, 3169.03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했다. 오전중 상승 전환했고, 보합권에서 혼조세를 보이다 상승폭을 확대해 정오 부근 3232.3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다. 오후 들어 3216선까지 상승폭을 줄이기도 했

미국 관세 불확실성에 낙폭을 키우던 국내증시가 상승 반전에 성공했다. 하지만 관세 협정 체결, 국내외 실적 시즌, 주요국 금리 결정 등 넘어야 할 변수가 산재해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9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21.05포인트(0.66%) 오른 3230.57에 마감했다. 종가 기준으로는 4년만에 3230선에서 마감했다. 장초반 미국 관세 불확실성이 투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한때 3160선까지 밀렸지만 장중 낙폭을 줄이며 3200선을 회복하는데 성공했다. 장 초반 순매수세를 보이던 개인투자자는 이날 8270억원 순매...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29일 코스피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에 힘입어 5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3230선을 돌파했다. 이번주 미국의 '빅 위크' 경계감에도 코스피 지수는 강세를 이어가며 마감가 기준으로 2021년 8월 10일(3243.19) 이후 약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 경제방송 CNBC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가 30일(이하 현지시간), 애플과 아마존이 31일에 각각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또 연방준비제도(Fed)는 29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관련 입장

SK하이닉스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66,192,960,000,000 102.02% 23,467,319,000,000 403.58% 19,796,902,000,000 316.65%
2023.4Q 32,765,719,000,000 -26.57% -7,730,313,000,000 -213.52% -9,137,547,000,000 -507.62%
2022.4Q 44,621,570,000,000 3.78% 6,809,417,000,000 -45.13% 2,241,669,000,000 -76.69%
2021.4Q 42,997,790,000,000 34.79% 12,410,340,000,000 147.58% 9,616,189,000,000 102.07%

순매수량

개인: -136,560

기관: 130,589

외인: 2,233

누적 순매수량

개인: -7,582,643

기관: -4,854,774

외인: 12,590,158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7-29 -136,560 130,589 2,233
2025-07-28 -26,781 233,322 -215,189
2025-07-25 409,602 -294,719 -129,666
2025-07-24 -307,523 -75,586 387,098
2025-07-23 241,819 -26,183 -226,587
2025-07-22 263,777 -268,704 15,114
2025-07-21 -61,055 69,317 -9,616
2025-07-18 501,407 4,691 -501,541
2025-07-17 3,023,681 -1,049,071 -2,041,448
2025-07-16 260,745 -455,990 192,113
2025-07-15 435,930 -456,605 15,261
2025-07-14 -324,695 -373,971 699,101
2025-07-11 354,131 -330,246 24,318
2025-07-10 -871,583 81,630 793,940
2025-07-09 149,306 -94,746 -50,323
2025-07-08 -205,420 70,499 160,634
2025-07-07 231,279 -108,026 -145,348
2025-07-04 118,462 -231,341 75,539
2025-07-03 248,983 -24,678 -233,077
2025-07-02 188,147 -162,408 -13,536
2025-07-01 380,108 -216,441 -188,824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7-28 5,096,272 -3,602,084 -1,594,886
2025-07-25 5,123,053 -3,835,406 -1,379,697
2025-07-24 4,713,451 -3,540,687 -1,250,031
2025-07-23 5,020,974 -3,465,101 -1,637,129
2025-07-22 4,779,155 -3,438,918 -1,410,542
2025-07-21 4,515,378 -3,170,214 -1,425,656
2025-07-18 4,576,433 -3,239,531 -1,416,040
2025-07-17 4,075,026 -3,244,222 -914,499
2025-07-16 1,051,345 -2,195,151 1,126,949
2025-07-15 790,600 -1,739,161 934,836
2025-07-14 354,670 -1,282,556 919,575
2025-07-11 679,365 -908,585 220,474
2025-07-10 325,234 -578,339 196,156
2025-07-09 1,196,817 -659,969 -597,784
2025-07-08 1,047,511 -565,223 -547,461
2025-07-07 1,252,931 -635,722 -708,095
2025-07-04 1,021,652 -527,696 -562,747
2025-07-03 903,190 -296,355 -638,286
2025-07-02 654,207 -271,677 -405,209
2025-07-01 466,060 -109,269 -391,673
2025-06-30 85,952 107,172 -202,849

SK하이닉스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123,985,470,000,000 34.32% 65.68%

SK하이닉스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DRAM, NAND Flash, CIS [반도체 부문] 100%

SK하이닉스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428,730 (11.21%)

최근 공매도 잔고: 1,400,738 (0.19%)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07-28 262,000 428,730 11.21%
2025-07-25 266,000 316,362 11.18%
2025-07-24 269,500 512,490 10.13%
2025-07-23 269,000 230,019 6.13%
2025-07-22 268,500 335,628 8.68%
2025-07-21 272,500 222,203 6.54%
2025-07-18 269,000 216,576 3.22%
2025-07-17 269,500 743,904 5.84%
2025-07-16 296,000 371,156 9.93%
2025-07-15 298,500 583,807 11.17%
2025-07-14 300,000 142,468 3.82%
2025-07-11 294,500 272,938 5.47%
2025-07-10 297,000 407,958 7.29%
2025-07-09 281,000 105,426 3.42%
2025-07-08 282,000 152,719 3.75%
2025-07-07 271,000 25,278 0.81%
2025-07-04 270,500 289,747 6.47%
2025-07-03 278,500 40,456 0.91%
2025-07-02 279,000 161,918 2.91%
2025-07-01 285,500 107,029 2.38%
2025-06-30 292,000 133,306 2.53%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7-24 269,500 1,400,738 0.19%
2025-07-23 269,000 1,446,341 0.20%
2025-07-22 268,500 1,310,532 0.18%
2025-07-21 272,500 1,189,014 0.16%
2025-07-18 269,000 1,025,346 0.14%
2025-07-17 269,500 1,132,891 0.16%
2025-07-16 296,000 1,285,768 0.18%
2025-07-15 298,500 842,973 0.12%
2025-07-14 300,000 792,703 0.11%
2025-07-11 294,500 786,409 0.11%
2025-07-10 297,000 741,414 0.10%
2025-07-09 281,000 823,227 0.11%
2025-07-08 282,000 828,636 0.11%
2025-07-07 271,000 830,248 0.11%
2025-07-04 270,500 760,198 0.10%
2025-07-03 278,500 640,409 0.09%
2025-07-02 279,000 642,763 0.09%
2025-07-01 285,500 802,797 0.11%
2025-06-30 292,000 843,283 0.12%
2025-06-27 284,000 683,096 0.09%
2025-06-26 293,000 678,220 0.09%

SK하이닉스 업종 내 비교

반도체/반도체장비 업종(153개) 연간 기준

항목 SK하이닉스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1,936,486.291 41,987.27 2위
PER(최근4분기) 7.455 14.67 80위
PBR 2.255 10.7 42위
ROE(최근4분기) 31.064 -3.62 2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0.338 1.42 63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35.453 -6.91 7위
순이익률(최근연도) 29.908 -14.75 9위
부채비율(최근연도) 62.151 74.14 65위
매출액(최근연도) 661,929.6 26,011.73 2위
영업이익(최근연도) 234,673.19 3,832.01 2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197,969.02 3,643.72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