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반도체 : 주력 생산 제품은 D램, NAND Flash,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이며, 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 D램 29.4%, NAND Flash 12.2%를 차지하고 있음
D램 : 주력 생산 제품은 D램, NAND Flash,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이며, 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 D램 29.4%, NAND Flash 12.2%를 차지하고 있음
3D낸드 : SK 그룹 계열의 세계적인 메모리 반도체 전문 제조업체로, 업계 최초로 72단 3D NAND FLASH 개발한 바 있음
반도체생산 : SK그룹 계열의 세계적인 메모리 반도체 전문 제조업체. 주력 생산제품은 DRAM과 낸드플래시 및 MCP(Multi-chip Package)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 제품. 2007년부터는 시스템 LSI 분야인 CIS(CMOS Image Sensor) 사업에 재진출하여 종합반도체 회사로 영역을 확대 중
차량용반도체 : LPDDR(저전력 더블데이터레이트) 등 D램 제품과 eMMC(내장형 멀티미디어 카드) 등 낸드플래시 제품을 연달아 자동차용으로 출시한 바 있음
온디바이스AI : 애플 비전 프로에 고대역 스페셜 DRAM 공급을 시작으로 온디바이스AI 메모리 시장 진입 전망
(e)SSD : SK그룹 계열의 세계적인 메모리 반도체 전문 제조업체로 SSD용 낸드플래시메모리를 생산
유리기판 :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기업으로, 고성능 반도체 패키징을 위해 유리기판 도입을 검토하며 기술 개발을 통해 반도체 성능 향상을 추구하는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음
NPU : AI 연산용 고속 메모리(HBM, DDR5 등)를 공급하는 기업으로, NPU가 탑재된 AI 반도체와 함께 쓰이는 고대역폭 메모리의 핵심 공급사
SK하이닉스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1,911,006억
2위
728,002,365
55.17%
하드웨어/IT장비
반도체/반도체장비
306,500
144,700
SK하이닉스 기업 개요
SK하이닉스는 1983년 현대전자로 설립된 기업으로 2001년 하이닉스반도체, 2012년 SK텔레콤에 인수되며 SK하이닉스로 상호를 변경, 메모리 반도체분야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DRAM과 NAND 중심의 메모리반도체 사업 부문이며, 시스템 반도체 CIS 생산과 파운드리 사업부분이 뒤를 잇고 있다. IT기술과 기기의 발전으로 반도체 제품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동사는 인텔사 NSG의 옵테인 사업부를 제외한 NAND 사업 부문과 키파운드리를 인수하며 반도체 사업분야 내에서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크게 요동쳤다. TSMC를 필두로 기술력에서 치고 나가는 대만과 저가 공세를 앞세워 D램 분야에서 발 빠르게 추격에 나선 중국 사이에서 대한민국의 반도체 산업은 위기론까지 불거지기도 했다. 박준영 산업인류학연구소장과의 일문일답을 통해 대한민국의 반도체 산업이 나아가야 할 길을 짚어본다. 박 소장은 을 최근 출간했고, 과거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연구원으로 활동한 인물이다. 현재는 한국경제TV 와우아카데미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8월 중 반도체 공정에 대한 강의를 선보일 예정이다. Q. 현재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이 놓인 현실을 진단해본다면 산업 기반을 기초부터 탄탄히 다져, 연구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기로에 있다고 봅니다. 두가지 때문에 그렇습니다. 우선 '메모리 반도체 만으로 수익을 충분히 낼 수 있느냐'하는 포트폴리오 측면입니다. HBM 때문에 메모리 반도체 매출이 늘기는 했지만 여전히 메모리 시장은 전체 반도체 매출의 3분의 1수준입니다. 시스템 반도체 시장이 3분의 2 정도로 훨씬 비중이 큰데다 고부가가치 성격을 가
[인포스탁데일리=윤서연 기자]▶마감체크■ 코스피 지수코스피 지수는 0.66% 상승한 3230.57에 마감했다.지난밤 뉴욕증시가 미-EU 무역 합의 속 빅테크 실적 및 FOMC 경계감 등에 혼조, 유럽 주요국 증시는 미-EU 무역협정 엇갈린 반응 속 하락했다.이날 코스피지수는 3192.17로 하락 출발했다. 장 초반 낙폭을 키웠고, 3169.03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했다. 오전중 상승 전환했고, 보합권에서 혼조세를 보이다 상승폭을 확대해 정오 부근 3232.3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다. 오후 들어 3216선까지 상승폭을 줄이기도 했
미국 관세 불확실성에 낙폭을 키우던 국내증시가 상승 반전에 성공했다. 하지만 관세 협정 체결, 국내외 실적 시즌, 주요국 금리 결정 등 넘어야 할 변수가 산재해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9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21.05포인트(0.66%) 오른 3230.57에 마감했다. 종가 기준으로는 4년만에 3230선에서 마감했다. 장초반 미국 관세 불확실성이 투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한때 3160선까지 밀렸지만 장중 낙폭을 줄이며 3200선을 회복하는데 성공했다. 장 초반 순매수세를 보이던 개인투자자는 이날 8270억원 순매...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29일 코스피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에 힘입어 5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3230선을 돌파했다. 이번주 미국의 '빅 위크' 경계감에도 코스피 지수는 강세를 이어가며 마감가 기준으로 2021년 8월 10일(3243.19) 이후 약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 경제방송 CNBC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가 30일(이하 현지시간), 애플과 아마존이 31일에 각각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또 연방준비제도(Fed)는 29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관련 입장